서평2009. 7. 13. 23:21
졸업: 설월화 살인 게임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히가시노 게이고 (현대문학, 2009년)
상세보기

악의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히가시노 게이고 (현대문학, 2008년)
상세보기


오랜만에 소설책을 읽었다. 한동안 자기 계발서만 읽다보니 내 책읽는 방법인 '상상 영상'이 부족하다고 느꼈던 것일까? 자주 찾는 블로그에 소개되어진 악의 를 보고 바로 구입해서 읽고, 책이 재밌어서 그런지 같은 작가의 작품을 또 구입해서 읽었다
나는 어릴적부터 테리비전 광이었다. 집에서도 '테레비전 귀신' 이라 불릴 정도로 열중하여 TV 보기를 했었다. '바보상자' 라는 그 상자 보는 것을 평생 낙으로 삼다 보니 판단력이나 응용력, 암기력등은 무지하게 떨어진다. 하지만 이미지화 영상화는 나름 괜찮은 머리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다. 뭐랄까 수많은 영상을 봐놔서 그런지 읽은 내용을 머리속에서 영화로 찍고 있다는 느낌?
뭐 책을 읽고 많은걸 기억하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자기 계발서들은 뭔가 교훈적인 내용을 알려주므로 사상의 전환이 되고, 한동안 열광했던 움베르토 에코히라노 게이치로의 책은 이해하기도 힘들어서 그런지 다 읽었을 때의 만족감은 다른 소설들과 비교할 바가 아니다. 하지만 위 책들의 서평을 같이 묶은 이유는 책의 내용을 잘 이야기 하지 않는 내 특성도 있지만 구지 나눌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보면 추리소설이라는 장르를 좋아하지 않았던 내 취향 탓일 수도 있을거 같다. 게다가 블로그에 책 서평은 소설은 안하겠다는 생각이 있어서 그런지 소설로 여러번의 서평을 남기기 싫기도 했다

추리 소설의 장점이라면 사건의 풀이를 상상하며 책에서 사건을 풀어가는 것과 비교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대게의 추리물 들은 나의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럴 줄 알았어', '그럴거 같았어' 등 내가 했던 상상들 중에 하나는 걸린다. 그래서 특별히 추리물을 좋아하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보통은 분위기라든가 묘사에 신경을 많이 쓰는 추리물들을 보게 된다. 볼거리(상상거리)라도 많아야 하기 때문일까?

어쨌든, 히가시노 게이고는 일본 추리작가의 대가라는 명성에 맞게 스토리를 잘 짜는 작가이다. 처음 읽은 악의 는 살인의 방법에 관한 심오한 스토리를 보여준다. 스포일러가 될까 세부적으로 이야기를 못하겠지만 내가 첫장을 펼치면서부터 쉬지 않고 끝까지 읽은 것만 봐도 그 스토리 몰입도는 상당하다. 졸업 은 전형적인 학원 추리물의 형식을 띈다. 1986년 작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구성이나 묘사, 전개가 약간 촌스럽다. 하긴 86년 당시에는 선풍적이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곤 했다. 같은 작가라고 해도 그 느낌이라는 것과 '추리' 라는 그 장르의 세련미도 발전했을 것이리라

단 두권밖에 안읽어 봤고 소설을 영화화한 비밀 을 본것까지 치면 3작품을 경험했지만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은 쉴틈을 안준다. 여운이나 약간의 휴식 등. 독자가 쉴만한 여유를 줘야 나름의 결말 추리를 해볼텐데 히가시노 게이고는 그런 쉴 틈이 없다. 계속 달리다 보면 이미 책은 끝나 있다. 그래서 그 결말에 감탄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폭풍처럼 독자를 끌어들이는 문장이나 스토리가 대단한 반면 문자 판독만을 하다 끝나버렸다는 허무함이 들기도 했다. 물론 머리속 영화는 개봉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말이다
앞으로도 종종 그의 책을 애독하게 될 것같다. 항상 뭔가를 머리속에 집어 넣는 책읽기가 주인 내 습관에서 탈피하고 싶을 때 말이다
Posted by pearl짓거리전문
서평2009. 7. 7. 00:33
회사가 붙잡는 사람들의 1% 비밀
카테고리 자기계발
지은이 신현만 (위즈덤하우스, 2009년)
상세보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던가. 사람은 태어나면서 부터 사람과 같이 사람에 기대어 살아간다. 학교를 다니든, 회사를 다니든, 자영업을 하든 사람과 만나고 사람을 상대하고 사람과 부대낀다. 너무 오지랍이 넓은 것도 문제가 되겠지만 인간 관계가 너무 좁은 것도 사회생활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그 중에서 회사라는 곳에서 필요로 하는 인간상은 어떤것일까? 이 책은 그것에 관한 이야기이다
제목의 포스에서 느껴지듯이 책을 구입하게되는 독자들은 회사 생활을 잘해보고자 하는 마음에 그 방법(실례)을 알아보고자 함이 크리라 본다. 나 또한 그러하다. 특별히 성격에 문제가 있는건 아니지만 왠지 모를 회사 분위기의 낯설음을 어떻게든 극복해보고 싶었다. 역시 충동구매라서 그런지 몰라도 '회사가 붙잡는 사람들' 의 의미를 너무 포괄적으로 해석한 듯 하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회사가 붙잡는 사람들' 은 사교적인 면도 등장하지만 '회사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 이 정확하다고 보겠다. 물론 내가 지금의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을 완벽히 갖춘것도 아니지만 능력의 계발은 차후의 문제이다. 분위기부터 내 맘편하게 바꾸지 않는한 자기 계발은 먼발치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어쨌든 책의 내용을 드려다 보면 저자는 헤드헌팅 회사의 CEO 이고 물론 회사원을 경험했다. 그의 경험과 수많은 인재들과 회사 인사담당, CEO 들과의 만남, 느낌을 바탕으로 이 책을 만든 것이다.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을 연구하고 그에 맞는 인물을 소개하고 분석하는게 직업인 만큼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을 정확히 아는 위치에 있다고 본다. 그 만큼 이 책이 신뢰도가 높다는 이야기이다. 사실 책 내용 중간 중간에 '어? 이건 아닐거 같은데' 하는 부분도 그는 강력하게 그렇다고 이야기 한다. 그것이 지금 대한민국 기업에서 하고 있는 일이고 바라는 인재상임을 확실히 강조하고 있다. 현실적인 책의 내용들은 잔인한 면이 있다.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지만 나는 특히 '학력', '영업', '아줌마' 등의  챕터는 안타까움일지, 아쉬움일지, 속상함일지 모를 감정을 느끼게 했다

'내가 과연 이런 사람으로 바뀔 수가 있을까?'
'내가 과연 이럴 수 있을까?'
'정말 이런 현실이 회사에서 이뤄질까?'

그런 생각을 하면서 내 삶을 뒤돌아 보던 중에 문득 '이 책은 과연 무엇인가?' 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이 책은 정석이다. 물론 이런 삶을 살면서 성공신화를 쓰고 있는 분들도 있을 것이지만 일반 평범한 직장인이라면 그러지 못하는 현실이 또는 과거가 후회스럽고 반성하게 될 것이다
또한가지는 과연 이런 직장생활을 하고 있지 못했다면 그렇게 바꿔가야 할텐데 현실적이나 성격상 그러지 못하거나 자신이 없을 경우는 어떨까? 물론 책에서 1:1 식의 100% 해답을 바라는건 아니지만 그런 현실이라면 회사 생활을 접어야 하는 걸까? 독립해야 하나? 진작부터 치킨집이 답인 것인가?

이 책을 아직 읽지 않은 분이나 읽으신 분이라도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는 말기를 바란다. 책의 신뢰도가 높다고 하나 그게 전부가 아닐 것이라 확신 한다. 아니, 그래야 철없는 직장생활을 견딜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과연 직장 생활의 정석은 어떠한가?' 를 확인하는 책으로 생각했으면 한다. 물론 이런 나의 의견은 내가 그런 노력도 해보지 않고 그런 능력도 없음에서 오는 회피일지도 모르겠다
Posted by pearl짓거리전문